네이버 불교게시판 문답400 경안 경안(praśrabdhi)이란 몸과 마음을 경쾌 안적[輕利安適,편안]하게 하여 능히 선법을 감당할 수 있게 하는 의식작용[心堪任性]을 말한다. 심감능(心堪能, 마음이 일을 감당할 만한 능력이 있음)이란, 정사유(正思惟)에 들어가는 마음의 유쾌함과 가볍게 되는 인(因)을 마음에 일으켜, 이것을 다른 법(法)으로 변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을 갖추게 되면 대상에 장애(障碍) 없이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심감능성(心堪能性)이라 한다. 만약 경안(輕安)을 얻었다면, 심신(心身)의 불감능성(不堪能性)을 배제(排除)하고, 심신(心身)을 아주 쉽게 부릴 수 있게 된다. 2024. 7. 31. 윤사, 불교 중관학파, 유식학파 어디에서 힌트를 얻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용수보살 《중론(中論)》 4권 24장 〈관사제품(觀四諦品)〉 24-18眾因緣生法 我說即是無亦為是假名 亦是中道義未曾有一法 不從因緣生是故一切法 無不是空者 여러 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 법(法: 존재)이다.나는 이것을 공하다(無)고 말한다.그리고 또한 가명(假名)이라고도 말하며,중도(中道)의 이치라고도 말한다.단 하나의 법(法: 존재)도 인과 연을 따라 생겨나지 않은 것이 없다.그러므로 일체의 모든 법이 공하지 않은 것이 없다.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 존재모든 것(諸法,오온,존재)은 마음에서 무명을 조건으로 생겨나는.. 2024. 7. 3. 중관,유식사상 중관사상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중관은 현상(사실=존재)을 중(연기법)으로 관한다는 조건적 발생의 법칙인 연기법을 말함 깟짜야나곳따경-Kaccānagottasuttaṃ, 상윳따니까야 S12:15(2-5)[세존]"깟짜야나여,이 세상사람들은 대부분 존재나 비존재의 두 가지에 의존한다.깟짜야나여, 참으로 올바른 지혜로써 있는 그대로세상의 발생을 관찰하면 세상에 비존재라는 것은 사라진다.깟짜야나여, 참으로 올바른 지혜로써 있는 그대로세상의 소멸을 관찰하면 세상에 존재라는 것은 사라진다.깟짜야나여,'모든 것은 존재한다'고 하는 것은 하나의 극단이다.(常見=영원주의)'모든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도 또 하나의 극단이다. (斷見=허무주의)깟짜야나여,.. 2024. 6. 19. 불교의 변천 기원전 480년경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후 100년이 지난 BC 4세기경 승려들 사이에 계율과 교리에 대한 엇갈린 견해가 발생 ,상좌부와 대중부라는 근본 이부로 분열된다.이후 대중부는 9파, 상좌부는 11파로 분화됨으로써 BC 1세기경 부파불교가 탄생한다. 부파불교 시대, 각 부파는 교설을 분석해 체계화할 필요성이 생김에 따라자신의 교학 성과를 결집해 경·율·론(經·律·論)으로 정리하게 된다.이를 '세 개의 광주리'라는 뜻의 삼장(三藏· 트리피타카)이라고 한다. 경은 부처님이 직접 전하신 말씀이며, 율은 수행자가 지켜야 할 계율이다.론은 붓다의 가르침에 대한 특정 저자와 부파들의 해석 모음, 즉 주해·논서다. 부파불교는 불교를 자신들 부파의 주장에 맞추어 해석해 (주석서)교리를 왜곡시켰다는(아비담마불교).. 2024. 6. 19. 지구가 멸망하면 어디서 태어날까용! 불교 신자 입니다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불교는 신을 믿는 신앙이 아니라붓다의 가르침을 따라 마음의 수행(팔정도의 실천)으로 열반을 이루는 종교 숫타니파타5.6. 학인 도따까의 질문에 대한 경1. [존자 도따까]“세존이시여, 묻사오니 제게 말씀해주십시오.위대하신 선인이여, 당신의 말씀을 듣고 싶습니다.당신의 목소리를 듣고 저는 열반을 배우겠습니다.2.[세존] “도따까여, 그러면 이 세상에서신중하게 알아차림을 확립하고 정진하십시오.여기서 나의 목소리를 듣고,자기 자신을 위해 열반을 배우십시오.”3.[존자 도따까] “저는 신들과 인간의 세계에서아무것도 소유하지 않고 행동하는 바라문을 봅니다.널리 보는 눈을 가진 님, 싸끼야여,저는 당신께 예배드립니다.저로 하여금 온갖 의혹.. 2024. 6. 8. 고정불변,무아,중관,공 1. '고정불변'하다 라는 뜻에 대해 일려주시고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고정불변= 불교용어로는 상주불변본연의 마음을 말함흔히 극락왕생,지옥간다할때는극락에,지옥에 가는 존재가 있다는 말인데 이것은 망상마음은 오고,감이 없다는 말=부동심(不動心)또한 얼음이 물이 되고 물이 수증기가 되듯어린애가 늙은이가 되듯존재의 모양이 변한다는데마음은 모양이 없어 (공=특징없음) 변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불변그것에 관해 올바른 지혜로 관찰하면마음은 탐욕을 떠나고번뇌에서 해탈한다.(쌍윳따니까야)수행자들이여!이 마음은 빛나는 것이다.그 마음이 다가오는 번뇌에서 벗어난다.(앙굿따라니까야)'특징이 없고,한계가 없고,모든 경우에 빛나는의식이 있네.(맛지마니까야)불교의 진아(.. 2024. 5. 26. 알아차림의 조건 앙굿다라니까야 사띠경에서 봤는데요.(A8:81)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사띠=念=마음챙김,알아차림,새김 사띠란 대상을 놓치지 않는 정도의 집중력과바뀌는 대상 [무상(생겨남과 사라짐),무아(실체없음)] 을 계속 쫓아가며 관찰할 수 있는 마음깨어있음의 기능이다. 사띠의 원래 뜻은 '기억함’여기서는 대상의 변화를매 순간 빠뜨리지 않고 연속적으로 기억함을 의미함 그럼 마음챙김이나 알아차림의 조건은 무엇인가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모든 감각적인 욕망을 떨어버리고 (첫째 조건)모든 온전하지 못한 법들(不善法 불선법)을 떨쳐 버리는 것무상,고,무아(공)를 관하는 것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 2024. 5. 14. 열반 유여열반은 설명하고 무여열반은 설명을 거부한 이유는 또 뭘까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그런 일 없습니다, 답바 말라뿟따 존자 길들이기 어려웠지만, 제어로 길들여져'답바'는 실로 만족하고 의혹을 뛰어넘어승리자로서 두려움을 여의었으니, 자신을 확립하여 완전한 열반에 들었다. "ThagA. 1. 16에 따르면, 두 가지 열반이 있는데, 오염으로부터의 완전한 열반(Kilesaparinibbana)으로서의 잔여가 있는 열반(유여열반: saupadisesanibbana)와 존재의 다발로부터의 완전한 열반(khandhaparinibbana)으로서의 잔여가 없는 열반(무여열반: anupadisesanibbana)이 있는데, 여기서는 전자(무여열반)를 말한다." - 테라가타 .. 2024. 5. 5. 자아 ego를 버린 상태를 아나타 anatta ? 자아 ego를 버린 상태를 아나타 anatta ? 무아지경과 같은건가요 ? 죽을때 없어지나요 ? 무아 - 나무위키 (namu.wiki) 이 중에 틀린 말이 있나요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나무위키 같은 시중의 일반상식으로는 불교를 알수 없습니다 자아 ego를 버린 상태를 아나타 anatta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자아 ego가 있어서 자아를 버린다?=내가 나를 버린다는 아주 이상한 말 무아지경과 같은건가요 ? 죽을때 없어지나요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불교 아닙니다 anatta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시중.. 2024. 4. 11. 이상태는 어느세계인가요? 이세계도 끝이아닌가요? 김성철교수님의 불경강의에서 선행을 많이하면 원하는것을 다 내손에 취할수 잇다고 설명하셧는데 즉 모든끌어당김을 다 이룰수 잇다고 설명하셧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선행을 하던, 기도를 하던, 불공을 드리던, 굿을하던 구하는 것을 얻는다는 것은 기복종교로 불교 아닙니다 내눈앞에 나타나는 그세계를 불경에서 무슨 계라고 칭하나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니밋따(표상)로 연기소생 모든 세계=모든 것(제법)은 실체없어 실재하지 않는 것(무아)=환영 무슨세계가 이렇게 많아요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세계는 실체없어 실재하지 않는 것=허공꽃 허공꽃이 많은 것이 아니라 번뇌망상이 치성한 것 공이면 끝에는 대체 무엇이 .. 2024. 4. 7. 다음생이 존재하나요? 다음생과 전생이 존재하나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존재가 실재하며 윤회,환생한다는 것은 샤머니즘인 힌두교사상으로 불교 아닙니다 불교에서는 존재=무아(실체없음) 쌍윳다니까야 팍구나 [팍구나]"세존이시여,누가 존재합니까?" [세존]"그와 같은 질문은 적당하지 않다. 나는 '사람이 존재한다'고 말하지 않았다 만약 내가 '사람이 존재 한다'라고 말했다면 '세존이시여,누가 존재합니까'라는 물음은 옳은 것이다. 그러나 나는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그렇게 말하지 않은 나에게는 오로지 '세존이시여,무엇때문에 존재가 생겨납니까?'라고 물어야 한다. 그것이 올바른 질문이다. 그것에 대한 올바른 대답은 이와 같다. 취착을 조건으로 존재가 생겨나고 존재를 조건으로 .. 2024. 4. 7. 불교용어 인과응보 자업자득 인과응보와 원리인데..ㅠㅠㅠ 이걸 불교에서는 뭐라고 얘기하나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원리=조건적 발생의 법칙인 연기(조건 緣, 일어날 起) 자업자득에서 업=행위(마음작용) 자업자득=자신의 행위에 대한 결과는 반드시 자신이 받는 것 인과응보에서 인과는 조건(원인)과 결과=조건발생 행위에는 반드시 결과가 따른다는 것 선한 마음작용=선행 악한 마음작용=악행 선행에는 즐거움(즐거운 곳의 환영)이 따르고 악행에는 괴로움(파멸처의 환영)이 따르는 것 담마파다(법구경),쌍의 품 17.악행을 하면 두 곳에서 괴로워하니 이 세상에서도 괴로워하고 저세상에서도 괴로워한다 내가 악을 지었다고 후회하고 나쁜 곳에 떨어져 한층 더 고통스러워한다 18.선행.. 2024. 4. 7. 이전 1 2 3 4 ··· 34 다음